SKC,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SKC,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보다 상세하고 투명한 정보공유’ 방향성 기반 제작···주요 투자사별 ESG 데이터 첫 별도 공시● 비즈니스 혁신 및 ESG경영 정보 통합 제공해 투자자, 평가기관 등 이해관계자 정보활용도 제고SKC(대표이사 박원철)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28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2020년 첫 발간 이래로 올해 다섯 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와 고객사, 평가기관, 시민단체 등 주요 이해관계자에게 ESG 경영 현황을 보다 상세하고 투명하게 공유하겠다는 방향성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보고서는 크게 기업 소개, SKC의 비즈니스 지속가능성 및 ESG 경영 현황을 소개하는 ‘지속가능성 스토리북’, ESG 관련 데이터를 집계한 ‘ESG 팩트북’으로 이뤄져 있다. 지속가능성 스토리북은 SKC의 이차전지·반도체·친환경 소재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함께 ESG 경영 체계 전반을 소개한다. 특히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기업 ISC 인수 등 지난해 있었던 새로운 변화를 ‘SKC 스페셜’이라는 코너로 별도 배치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ESG 팩트북은 2021~2023년 3개 년의 상세한 ESG 관련 정량, 정성 데이터를 담고 있다. 전년도까지 SKC와 주요 투자사의 합계로만 공시했던 ESG 데이터를, 올해 보고서에서 공시되는 2023년도부터는 SKC와 SK넥실리스, SK피아이씨글로벌, SK엔펄스 등으로 구분해 수록했다. 보고서를 활용하는 이해관계자들이 온실가스 감축, 용수 재활용 등 환경 성과 데이터는 물론, 인적 구성과 협력사 관리 현황 등 사회 관련 데이터 등을 각 투자사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또한 ‘2023 SKC 액티비티 리포트(Activity Report)’에 대한 정보도 담겨있다. SKC는 이사회 및 CEO의 평가 원칙 및 지표, 보상 체계 등에 대한 공유를 확산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으로 이 같은 리포트를 시범 제작했다. SKC는 앞으로도 투명한 정보 공시로 지배구조의 건전성을 더욱 제고해 나갈 방침이다.SKC 관계자는 ”글로벌 ESG 소재 솔루션 기업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한 과감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이어가면서 동시에 진정성 있는 ESG 경영을 실천, 그 성과를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2024-06-28
SKC, 한국ESG기준원 ESG 경영평가 통합 ‘A+’ 획득
● 전년 A 등급 대비 1단계 상승, 평가 대상 상장사 1049곳 중 상위 1.8%의 최고등급 획득 ● 환경성과 목표 세부 공개 및 지역사회 상생, 이사회 전문성 지속 강화로 신뢰도 제고SKC(대표이사 박원철)가 한국ESG기준원(KCGS)가 발표하는 ‘2023년 ESG 경영 평가’에서 전년 대비 1단계 상승한 통합 ‘A+(플러스)’ 등급을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ESG기준원은 매년 국내 상장사를 대상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관련 경영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S와 A+, A, B+, B, C, D 등 총 7개 등급으로 평가한다. 올해는 1049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으며, A+ 등급을 받은 기업은 SKC를 포함 19개에 불과해 상위 1.8%에 해당한다. S등급은 아직 한 번도 부여된 적이 없다.이 같은 우수한 평가 등급 획득은 ‘글로벌 ESG 소재 솔루션 기업’이라는 SKC의 비전에 따라 숨가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와중에도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분야의 혁신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온 결과다. 이번 최우수 등급 획득으로 SKC는 동종업계에서 확고한 ESG 리더십을 확보하고, 투자자 신뢰도도 제고할 수 있게 됐다.세부 등급은 환경 분야에서 전년에 비해 두 단계 상승한 A+를 획득했으며, 사회 분야와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각각 A+, A로 전년 등급을 유지했다. SKC는 온실가스 넷 제로(Net-Zero), 플라스틱 넷 제로 등 환경목표와 실적을 구체적으로 공개하면서 신뢰도를 높였다. 또 2021년 SK넥실리스에 이어 지난해 SK피아이씨글로벌이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을 획득하는 등 친환경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생산공장이 있는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안전, 환경 설비를 강화하고, 구성원 인권 제고를 위한 인권경영 목표 수립 및 각종 활동을 실행하는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상생하기 위한 경영활동에도 힘쓰고 있다.2021년 글로벌 수준 이상의 지배구조 혁신을 선언한 SKC는 사외이사의 의장 선임, 여성이사 비중 확대 및 이사회역량지표(BSM) 도입 등으로 이사회 독립성과 다양성 확대에 힘써왔다. 이에 더해 이사회 정기 평가 실시 및 평가 방식 공개로 이사회의 전문성과 대내외 독립성을 제고하는 한편, 꾸준한 윤리경영 체계 구축으로 올해 3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획득했다.최갑룡 SKC ESG추진부문장은 “이번 KCGS A+ 등급 획득은 꾸준히 추진해 온 지속가능경영의 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투명한 ESG 경영활동 및 ESG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으로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받으며 성장하는 기업으로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끝]
2023-10-27
SKC,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환경 위한 온라인 전용 발간··· 새 ESG 비전 ‘ESG Solution Provider for the Next Generation’ 공표● ‘ESG 스토리’ ‘립 투 립’ ‘ESG 팩트북’ 등 섹션 구성으로 SKC ESG 경영 정보 투명하게 공개 SKC(대표이사 박원철)가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ESG Solution Provider for the Next Generation’라는 새로운 ESG 비전을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새 ESG 비전과 함께 SKC의 ESG 경영을 위한 노력과 실행전략,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대한 내용도 보다 구체적으로 담았다.SKC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홈페이지 등에 공개했다. 보고서를 통해 공개한 새로운 ESG 비전은 ‘글로벌 ESG 소재 솔루션 기업’이라는 SKC의 기업 정체성과 함께, ESG 경영을 통해 다음 세대가 더욱 풍요롭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추구한다는 지향점을 내포했다. 2020년 첫 발간 이래로 올해 네 번째인 이번 보고서에는 SKC와 각 투자사의 환경과 사회, 지배구조 혁신 성과에 대한 ‘ESG 스토리(Story)’, 비즈니스 모델의 전략과 목표를 설명하는 ‘립 투 립(Leap to Reap)’ 및 각종 ESG 데이터를 담은 ‘ESG 팩트북(Factbook)’ 등의 섹션으로 구성됐다. ‘ESG 스토리’ 섹션에선 ‘2040 온실가스 넷 제로’의 상세한 실행 계획 및 소비자와 구성원,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행복 추구를 위한 활동, 이사회 혁신 성과 등의 내용을 포함했다. 특히 구성원, 협력사 관계자의 인터뷰를 수록하는 등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보다 강화했다. ‘립 투 립’ 섹션에는 이차전지와 반도체, 친환경 소재 등 3대 성장축에 대한 상세 전략을 담았으며, ‘ESG 팩트북’에는 전년대비 30% 이상 늘어난 ESG 데이터를 수록했다.SKC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2022년의 사회적 가치(SV) 창출 성과도 공개했다. SKC의 2022년도 SV 창출 성과는 총 3,015억 원으로, 필름사업 매각 등으로 ‘경제간접 기여성과’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꾸준한 사회공헌 및 협력사 동반성장에 대한 노력을 기반으로 ‘사회성과’는 성장세를 나타냈다.또한 올해부터 SKC는 오프라인 책자 발행이 없는 온라인 전용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로 발간한다. 이에 따라 보고서 내 내부 이동 및 외부의 다양한 콘텐츠를 연결하는 인터랙티브 기능을 삽입해 독자가 더욱 편리하게 SKC의 ESG 경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SKC 관계자는 ”글로벌 ESG 소재 솔루션 기업이라는 정체성에 기반한 과감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함께, 투명하고 진정성 있는 ESG 경영을 실천해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거둬 나갈 것을 이번 보고서를 통해 이해관계자들께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끝]
2023-06-30